언제부터인지 정확히는 모르겠지만 안드로이드엔 잠금화면에서 뜨는 알림들의 민감한 내용을 숨길 수 있는 설정이 있다. 민감하고 아니고의 기준은 알림의 내용과 관련이 없고 어떤 앱이 알림을 보냈느냐 뿐이다. 예를 들면 SMS나 메신저로 오가는 내용은 잠금화면에 떠버리면 개인정보나 프라이버시에 문제가 생길 수 있으니 어떤 앱에서 알림이 떴는지 아이콘만 표시하고 내용은 숨겨버리는 것이다. 이런 류의 다른 설정들처럼 전체 기본 설정이 있고 앱에 따라 개별 설정을 따로 할 수 있다. 예를 들자면 기본적으로는 알림 내용을 다 보이게 해 두고 메신저류는 앞에서 말한 이유로 내용을 숨기는 식이다.
하지만 이 설정에서 굉장히 잘못 된 점이 있는데 그 반대로 하는 게 아예 안 된다. 기본적으로는 모든 알림 내용을 숨기고 음악 재생 앱 등의 알림은 잠금화면에서도 보이게 하고 싶은데 이게 불가능하다. 알림 내용을 숨기는 걸 기본 설정으로 하면 앱 개별 설정에서는 알림 내용 전체를 보여주는 옵션 자체가 없어져버린다. 왜 그렇게 설계했는지는 구글의 마음이겠지만 보안적으로 이쪽 방식이 더 올바른 것인데 그걸 불가능하게 만들었다는 게 이해가 전혀 되질 않는다. 내가 원하는 방식으로 알림을 설정하려면 현재 상황에선 다음과 같은 과정을 거쳐야 한다.
- 기본 설정에선 모든 알림 내용 표시로 설정
- 내가 알림을 보고자 하는 앱(음악 앱)을 제외한 100~200여개의 앱 개별설정을 “잠금화면에서 내용 숨김”으로 바꾼다.
- 새로 앱을 설치한 경우 절대로 까먹지 말고 새 앱의 개별 알림 설정을 바꾼다.
2번까지는 귀찮지만 어떻게든 할 수 있는데 인간적으로 3번은 불가능하다고 봐야 한다. 반면 개별 설정의 제한이 풀린다면 다음과 같이 하면 된다.
- 기본 설정을 “잠금화면에서 내용 숨김”으로 변경
- 내가 원하는 앱(음악 앱 등) 몇 개만 잠금화면에서 내용 표시로 변경
There is no 3
난 정말로 구글이 왜 이런 식으로 보안상 좋지도 않은 UX를 강요하는지 전혀 모르겠다.